최근 게시물
-
네트워크
CH3. TCP/IP(1)
1. TCP/IP TCP와 IP를 중심으로 하는 프로토콜의 집합으로, 네트워크의 공통 언어이다. TCP/IP로 통신하는 PC와 스마트폰, 각종 네트워크 기기 전반을 호스트라고 부른다. 1-1) TCP/IP 계층구조 4개 계층의 프로토콜이 모두 정상적으로 제기능을 해야 통신이 이루어진다. 어떤 계층이 기능을 발휘하려면, 그 하위 계층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TCP/IP의 구조 기능 주요 프로토콜 애플리케이션층 애플리케이션에서 다룰 데이터 형식과 절차를 결정한다. HTTP, SMTP, POP3, IMAP4, DHCP, DNS 등 트랜스포트층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할당한다. TCP/UDP 인터넷층 엔드투엔드 통신을 한다. IP, ICMP, APP 등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층 프로토콜은 자유롭..
-
네트워크
CH2.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
1.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 1-1) 기본적인 네트워크 기기 라우터 레이어2 스위치 레어어3 스위치 1-2) 데이터 전송처리 절차 데이터 수신 : 전기신호 등 물리적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원래 디지털 신호(0,1)로 되돌린다. 데이터 보낼 곳 결정 : 데어터에 부가된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전송할 곳을 결정한다. 데이터 전송 : 데이터를 물리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내보낸다. 필요하면 제어 정보를 고쳐쓴다. 2.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구성 PC나 서버, 네트워크 기기에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갖추어져 있다. 인터페이스끼리 전송 매체(케이블 등)로 연결하고 링크를 구성해서 네트워크를 만든다. 인터페이스는 '0'과 '1'의 디지털 데이터와 물리적인 신호의 경계다. 2-1) 인터페이스(포트) 네트..
-
네트워크
CH1. 네트워크의 기본
1.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는 정보 수집이나 커뮤니케이션 효율화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이용된다. 네트워크 사용자에 따라서 사설 네트워크와 인터넷 네트워크의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사설 네트워크는 회사나 가정 내로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를 제한하는 네트워크이고, 인터넷은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를 제한하지 않는 네트워크이다. 1-1) 사내 네트워크 구성 - LAN과 WAN 사내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과 WAN(Wide Area Network)로 구성된다. LAN은 거점 내 네트워크를 말하며, 직접 구축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WAN서비스로 거점이 되는 LAN끼리 연결할 수 있다. LAN WAN 역할 거점 내 기기끼리 서로 연결한다. 거점인 LAN끼..
-
AI
AI사례실습 - 0. 데이터 마이닝, 분석방법론(Crisp-DM)
데이터 마이닝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은 대규모로 저장된 데이터 안에서 체계적이고 자동적으로 통계적 규칙이나 패턴을 분석하여 가치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데이터 마이닝 머신러닝 데이터에서 패턴을 찾아서 정보를 획득함 데이터에서 정보를 획득하는 것에 중점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알고리즘에 집중 비즈니스 이해 단계 모델링 단계 데이터 분석 방법론 (Crisp-DM) CRISP-DM(Cross Industry Standard Process for Data Mining) 방법론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마이닝 표준 방법론이다. 데이터 마이닝의 수행방법론 CRISP-DM의 절차는 6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화살표에 따른 종속관계 및 순서는 엄격하지 않다. 1 단계) 비즈니스 이해..
-
AI
AI의 이해 - 3. AI 업무적용 프로세스
AI 업무적용 프로세스 문제 정의 데이터 수집 데이터 분석 및 전처리 AI 모델링 AI 적용 1) 문제 정의 목적 : 고객 해지 방어 활동 목표1 : 사용패턴으로 해지예측 목표2 : 사용패턴 반영한 상품추천 => 목적과 목표에 따라 어떤 AI모델을 만들 것인지 선택가능 ex. AI 과제 정의서 과제명 선글라스 판매량 증대를 위한 고객 타겟팅 방식 개선 배경 및 문제 정의 - 현상 / 상황 : 마케터의 직관을 바탕으로 타겟 고객 선정 - 핵심문제 및 원인 : 마케터 역량에 다른 직관력 상이, 미처 고려하지 못한 고객군 존재 가설 선글라스를 구매하는 고객의 뚜렷한 특징이 있을 것이다. 기대 효과 [As-Is] 경험에 의존한 마케팅 타겟 선정으로 영업효과 높지 않음 [To-be] 선글라스 구매하는 고객의 패턴..
-
AI
AI의 이해 - 2. 딥러닝
딥러닝 1) 딥러닝이란? 딥러닝은 머신러닝의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딥러닝은 뇌의 정보처리방식을 모사한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과 유사하게 여러 층(Layer)으로 깊이있게(Deep) 구성하여 학습을 진행한다. (※ 인공신경망이란 뇌의 신경망을 모델링 한 것) 중요한(Feature)에 가중치(Weight)를 부여하여 학습 딥러닝의 대표 알고리즘 1) DNN (Deep Neural Network, 심층 신경망) 입력층, 여러 개의 은닉층, 출력층으로 구성된 가장 일반적인 모형 hidden layer가 두 개 이상인 인공신경망이다. y = wx + b (w : 가중치, b : 바이어스) 에서 정확한 w와 b값을 구하는 것을 딥러닝이 학습한다 라고 한다. 2) C..
-
AI
AI의 이해 - 1. AI, 머신러닝
AI(Artificial Intelligence)와 머신러닝 1) AI(Artificial Intelligence) 알고리즘으로 데이터를 학습(Train)하여 모델을 만드는 기술 2) 머신러닝 (전통적인 프로그래밍) 기계에 부여하는 명령을 만드는 작업과 달리, (머신러닝) 알고리즘으로 데이터를 학습하여 판단이나 예측을 하는 기술 AI 용어 및 요소 1) AI가 주목 받는 이유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 - 양질의 데이터 폭발적 증가(SNS, 블로그, 검색) + IoT 컴퓨팅 기술의 발전 - GPU, 클라우드 발전 => 인공지능을 개발할 수 있게 됨. Easy & Open - AI 기술 및 알고리즘 공유 문화 2) AI의 개발도구 프로그래밍 언어 - Python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 Numpy(수치 관련), ..
-
서버
CH3. 서버로 무엇을 하는가? (2)
서버 가상화와 데스크톱 가상화 1) 서버 가상화(가상 서버) 서버 가상화는 물리적으로 1대의 서버 안에 복수 서버의 기능을 논리적으로 갖게하는 것을 말한다. 장점 - 2대를 설치할 장소를 1대로 끝냈으므로, 설치장소, 전력 소비 등 물리적 관점에서 우수하다. - 가상화된 서버는 다른 서버에 복사하거나 이동하기가 비교적 쉬워 장애,재해 대책으로 효과적이다. 단점 성능이 떨어진다. => 따라서 가상화를 할 때는 CPU나 메모리, 네트워크 기기 등의 성능을 높일 필요가 있다. 2) 데스크톱 가상화(VDI,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가상화된 논리적인 데스크톱 PC를 두고, 물리적인 데스크톱인 클라이언트 PC에서 이를 표시하고 조작하는 형태가 가장 주류이다. - 데스크톱 PC는 서..
-
서버
CH3. 서버로 무엇을 하는가? (1)
TCP, UDP 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는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메세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연결형 서비스로 가상 회선 방식을 제공한다. 3-way handshaking과정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고 4-way handshaking을 통해 해제한다. 흐름 제어 및 혼잡 제어. 높은 신뢰성을 보장한다. UDP보다 속도가 느리다. 전이중(Full-Duplex), 점대점(Point to Point) 방식. 2) UDP(User Datagram Protocol) UDP는 데이터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이다. 비연결형 서비스로 데이터그램 방식을 제공한다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정보를 보내거나 받는다는 신호절차를 거치지 않..
-
서버
CH2. 하드웨어로서의 서버 (2)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 1) 클라우드 서비스의 3가지 종류 쉽게 말하자면, SaaS는 사용자가 필요한 시스템을 통쨰로 제공받는 유형 laaS는 OS외에는 아무 것도 설치되지 않은 서버를 계약하고, 사용자가 사용할 애플리케이션이나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등의 미들웨어를 직접 설치하는 유형 PaaS는 laaS와 SaaS의 중간에 해당하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 등의 미들웨어와 개발 환경 등을 포함하는 유형이다.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물리적 자원 제공 - IaaS는 고객에게 서버, 네트워크, OS, 스토리지를 가상화하여 제공하고 관리합니다. PaaS (Platform as a Service) - 소프트웨어 개발을 돕는 플랫폼 제공 - PaaS는 고객에게 OS, 미들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