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 UDP
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는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메세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 연결형 서비스로 가상 회선 방식을 제공한다.
- 3-way handshaking과정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고 4-way handshaking을 통해 해제한다.
- 흐름 제어 및 혼잡 제어.
- 높은 신뢰성을 보장한다.
- UDP보다 속도가 느리다.
- 전이중(Full-Duplex), 점대점(Point to Point) 방식.
2) UDP(User Datagram Protocol)
UDP는 데이터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이다.
- 비연결형 서비스로 데이터그램 방식을 제공한다
-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정보를 보내거나 받는다는 신호절차를 거치지 않는다.
- UDP헤더의 CheckSum 필드를 통해 최소한의 오류만 검출한다.
- 신뢰성이 낮다.
- TCP보다 속도가 빠르다.
3) TCP vs UDP
컴퓨터 간 데이터 통신
1) TCP/IP 4계층
TCP/IP 4계층 | 역할 | 데이타 단위 | 전송 주소 | 예시 | 장비 |
응용 계층 (Application) |
응용프로그램 간의 데이타 송수신 | Data/Message | - | 파일 전송, 이메일, FTP, HTTP, SSH, Telnet, DNS, SMTP 등 | - |
전송 계층 (Transport) |
호스트 간의 자료 송수신 | Segment | Port | TCP, UDP, RTP, RTCP 등 | 게이트웨이 |
인터넷 계층 (Internet) |
데이타 전송을 위한 논리적 주소 지정 및 경로 지정 | Packet | IP | IP, ARP, ICMP, RARP, OSPF | 라우터 |
네트워크 연결 계층 (Network Access) |
실제 데이타인 프레임을 송수신 | Frame | MAC | Ethernet, PPP, Token Ring 등 | 브리지, 스위치, LAN 카드, 허브 |
※ 데이터의 캡슐화
데이터는 각각의 층에서 헤더가 추가되고 캡슐화되어 다음 계층으로 넘어간다.
라우터(router)
- 라우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다.
-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며, 이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달한다. 간단히 말해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중계 역할을 해준다.
- 라우터는 전송되는 데이터를 자신이 목적지로 보낼 것인지, 아니면 다음 라우터로 중계할 것인가를 항상 생각한다.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3. 서버로 무엇을 하는가? (2) (0) | 2021.12.01 |
---|---|
CH2. 하드웨어로서의 서버 (2) (0) | 2021.11.30 |
CH2. 하드웨어로서의 서버 (1) (0) | 2021.11.28 |
CH1. 서버의 기본 (0) | 2021.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