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5) 썸네일형 리스트형 CH3. 서버로 무엇을 하는가? (2) 서버 가상화와 데스크톱 가상화 1) 서버 가상화(가상 서버) 서버 가상화는 물리적으로 1대의 서버 안에 복수 서버의 기능을 논리적으로 갖게하는 것을 말한다. 장점 - 2대를 설치할 장소를 1대로 끝냈으므로, 설치장소, 전력 소비 등 물리적 관점에서 우수하다. - 가상화된 서버는 다른 서버에 복사하거나 이동하기가 비교적 쉬워 장애,재해 대책으로 효과적이다. 단점 성능이 떨어진다. => 따라서 가상화를 할 때는 CPU나 메모리, 네트워크 기기 등의 성능을 높일 필요가 있다. 2) 데스크톱 가상화(VDI,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가상화된 논리적인 데스크톱 PC를 두고, 물리적인 데스크톱인 클라이언트 PC에서 이를 표시하고 조작하는 형태가 가장 주류이다. - 데스크톱 PC는 서.. CH3. 서버로 무엇을 하는가? (1) TCP, UDP 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는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메세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연결형 서비스로 가상 회선 방식을 제공한다. 3-way handshaking과정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고 4-way handshaking을 통해 해제한다. 흐름 제어 및 혼잡 제어. 높은 신뢰성을 보장한다. UDP보다 속도가 느리다. 전이중(Full-Duplex), 점대점(Point to Point) 방식. 2) UDP(User Datagram Protocol) UDP는 데이터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이다. 비연결형 서비스로 데이터그램 방식을 제공한다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정보를 보내거나 받는다는 신호절차를 거치지 않.. CH2. 하드웨어로서의 서버 (2)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 1) 클라우드 서비스의 3가지 종류 쉽게 말하자면, SaaS는 사용자가 필요한 시스템을 통쨰로 제공받는 유형 laaS는 OS외에는 아무 것도 설치되지 않은 서버를 계약하고, 사용자가 사용할 애플리케이션이나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등의 미들웨어를 직접 설치하는 유형 PaaS는 laaS와 SaaS의 중간에 해당하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 등의 미들웨어와 개발 환경 등을 포함하는 유형이다.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물리적 자원 제공 - IaaS는 고객에게 서버, 네트워크, OS, 스토리지를 가상화하여 제공하고 관리합니다. PaaS (Platform as a Service) - 소프트웨어 개발을 돕는 플랫폼 제공 - PaaS는 고객에게 OS, 미들웨어,.. CH2. 하드웨어로서의 서버 (1) 서버의 표준, PC 서버 PC 서버는 PC와 같은 구조로 PC가 대형화된 것 같은 서버로, IA(Intel Architecture) 서버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PC 서버는 이전에는 PC보다 성능이 나은 정도였지만 최근 성능이 향상되고 다양화되면서 중·소규모 업무는 PC서버로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서버의 표준이 되고 있다. 네트워크의 기본, LAN 1) LAN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LAN은 네트워크 매체를 이용하여 집, 사무실, 학교 등의 건물과 같은 가까운 지역을 한데 묶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TCP/IP로 불리는 네트워크의 프로토콜로 통신한다. LAN 케이블을 이용하는 유선 LAN과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는 무선 LAN이 있다. 2) WAN (wide area net.. CH1. 서버의 기본 서버의 역할 사회에는 다양한 시스템이 있지만, 일정 이상의 규모라면 반드시 서버가 존재한다. 서버는 시스템 안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서버의 3가지 이용 형태 1)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응하여 처리하는 형태 (서버의 기본적인 형태)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PC 같은 산하 컴퓨터의 요청에 대응해 수동적으로 처리한다. ex. 파일 서버, 프린트 서버, 메일이나 웹 서버, IoT 서버(디바이스가 수시로 데이터를 올리는 경우) 2) 서버에서 능동적으로 처리하는 형태 서버가 산하 컴퓨터나 디바이스에 대해 능동적으로 처리한다. 즉, 서버가 클라이언트 PC나 산하의 컴퓨터, 디바이스에 명령해서 처리하는 형태이다. ex. 운용 감시 서버, RPA 서버, BPMS 서버, IoT서버(IoT 디바이스를 호출하는 경우 등..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