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의 표준, PC 서버
- PC 서버는 PC와 같은 구조로 PC가 대형화된 것 같은 서버로, IA(Intel Architecture) 서버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 PC 서버는 이전에는 PC보다 성능이 나은 정도였지만 최근 성능이 향상되고 다양화되면서 중·소규모 업무는 PC서버로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서버의 표준이 되고 있다.
네트워크의 기본, LAN
1) LAN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 LAN은 네트워크 매체를 이용하여 집, 사무실, 학교 등의 건물과 같은 가까운 지역을 한데 묶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 TCP/IP로 불리는 네트워크의 프로토콜로 통신한다.
- LAN 케이블을 이용하는 유선 LAN과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는 무선 LAN이 있다.
2) WAN (wide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
WAN은 드넓은 지리적 거리/장소를 넘나드는 통신 네트워크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서버 설치 장소
이전에는 서버를 자사에 설치해 운용하는 온프레미스(On-Premise) 방식이 주류였지만, 현재는 데이터 센터에 설치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온프레미스(On-Premise) | 데이터 센터 |
기업이나 단체가 있는 층의 구석에 있는 랙 등에 설치 |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센터의 서버의 접속 |
(장점) - 자사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 서버 도입에 관한 기술을 익힐 수 있다. |
(장점) - 조건이 맞으면 바로 쓸 수 있다. - 유지 보수는 데이터 센터 사업자가 한다. - 직접 설치보다 비용이 낮아지는 경우가 많다. |
(단점) - 설치에 이르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 - 직접 유지 보수해야 한다. - 비용이 낮아지지 않는다. |
(단점) 데이터가 외부 네트워크로 나간다. |
서버 VS PC
1) 구성 비교
- 서버는 운용을 멈추지 않게 하게 위해 PC와는 다른 구성으로 되어 있다.
- 서버는 개별 부품의 신뢰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중화를 포함한 고신뢰성과 함께 가능한 한 운용을 멈추지 않는 구조이므로, 지속해서 이용할 수 있는 높은 가용성도 가지고 있다.
서버 | PC | |
1일 가동 시간 | 24시간 | 사용할 경우만 |
신뢰성 | - 기본적으로 멈추지 않는다. - 재시작도 가능한 한 하지 않는다. |
문제가 있으면 적당히 재시작한다. |
확장성 | - 운용을 정지하지 않고, 각 유닛을 교환할 수 있는 타입도 있다. - 증설하기 쉽다. |
- 교환, 증설 시엔 운용을 정지한다. - 기기에 따라선 증설이 어렵다. |
가용성, 내결함성 | 전원, 디스크, 팬 등을 다중화 | 대부분 다중화되어 있지 않다. |
2) 성능 비교
- PC는 사용자의 조작이 제대로 반영됐는지 눈으로 볼 수 있게 하는 표시 성능을 중시하지만, 서버는 표시 성능보다 처리 성능 (I/O 성능)을 중시한다.
- 서버는 CPU, 메모리, 디스크 등 개개의 유닛이 PC보다 고성능이다.
서버 OS
1)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란?
OS는 하드웨어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시스템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드라이버와 같은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등 사용자가 컴퓨터를 쉽게 다룰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2) 3종류의 서버 OS
- Windows Server(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
- Linux(오픈소스 OS의 대표 격)
- UNIX 계열(서버 제조사들이 제공)
서버의 사양
1) 서버의 선정
예전에는 서버를 선택할 때 필요한 처리 성능이나 데이터양 등을 계산하고 서버 성능과 대조해서 선정했지만, 지금은 사용자 수나 용도 등으로도 검토할 수 있다.
2) 서버의 사양
항목 | 개별 제품 사양 |
형태, 크기 | ex. 타워형, 랙 마운트형 등 |
CPU 수, 종류 | ex. 인텔XX, 1/2(최대 2개 설치 가능하고 현재 1개 설치됨) |
메모리 용량 | ex. 최대 3,072GB |
내장 디스크 용량 | ex. 10/20TB |
전원 유닛 | ex. 250W, 300W, 450W 등 |
다중화 냉각팬 | ex. 유무 |
서버의 형태
- 타워 : 데스크톱 PC와 같은 직육면체 모양으로 PC를 크게 만든 형태
- 랙 마운트 : 전용 랙에 한 대씩 설치하는 형태로 확장성과 내장애성이 뛰어나다. 랙 안에서 숫자를 늘려 확장할 수 있고, 전용 랙으로 보호되므로 장애에도 강하다.
- 블레이드, 고밀도 : 랙 마운트의 파생 형태이며, 주로 대량으로 서버를 이용하는 데이터 센터용 형태이다. 공통부품은 랙 쪽에 두고, 얇게 소형화된 서버를 좁은 공간에 집중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어있다. 집적률이 매우 높다.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3. 서버로 무엇을 하는가? (2) (0) | 2021.12.01 |
---|---|
CH3. 서버로 무엇을 하는가? (1) (0) | 2021.12.01 |
CH2. 하드웨어로서의 서버 (2) (0) | 2021.11.30 |
CH1. 서버의 기본 (0) | 2021.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