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CH3. TCP/IP(1)

1. TCP/IP

  • TCP와 IP를 중심으로 하는 프로토콜의 집합으로, 네트워크의 공통 언어이다.
  • TCP/IP로 통신하는 PC와 스마트폰, 각종 네트워크 기기 전반을 호스트라고 부른다.

 

1-1) TCP/IP 계층구조

4개 계층의 프로토콜이 모두 정상적으로 제기능을 해야 통신이 이루어진다.

어떤 계층이 기능을 발휘하려면, 그 하위 계층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TCP/IP의 구조 기능 주요 프로토콜
애플리케이션층 애플리케이션에서 다룰 데이터 형식과 절차를 결정한다. HTTP, SMTP, POP3, IMAP4, DHCP, DNS 등
트랜스포트층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할당한다. TCP/UDP
인터넷층 엔드투엔드 통신을 한다. IP, ICMP, APP 등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층 프로토콜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통신 상대와 같은 것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이더넷, 무선 LAN(Wi-Fi), PPP 등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층의 역할은 같은 네트워크 내 인터페이스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 인터페이스층의 역할은 원격지 네트워크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 트랜스포트층의 역할은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를 배분한다.
  • 애플리케이션의 역할은 애플리케이션에서 다루는 데이터 형식과 처리 순서 등을 결정한다.

 

1-2) TCP/IP를 이용한 통신

네트워크 기기는 물리적인 신호를 '0' '1'로 변환해서, 각각의 동작을 위한 헤더를 참조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털르 수신하는 쪽은 TCP/IP 계층을 아래에서 위로 따라가며 헤더를 참조해 프로토콜을 처리한다.

※ 캡슐화

  • 각 프로토콜의 처리를 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헤더라고 한다.
  • 데어터에 헤더를 추가하는 것을 캡슐화라고 한다.
  • 추가된 데이터를 보고 프로토콜의 처리를 하고, 헤더를 제거해 다른 프로토콜에 처리를 넘기는 것을 역캡슐화라고 한다.
  • 데이터 송신측은 TCP/IP 계층을 위에서부터 아래로 따라가며 각 프로토콜 헤더를 추가한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