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CH2.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

1.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

1-1) 기본적인 네트워크 기기

  • 라우터
  • 레이어2 스위치
  • 레어어3 스위치

1-2) 데이터 전송처리 절차

  1. 데이터 수신 : 전기신호 등 물리적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원래 디지털 신호(0,1)로 되돌린다.
  2. 데이터 보낼 곳 결정 : 데어터에 부가된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전송할 곳을 결정한다.
  3. 데이터 전송 : 데이터를 물리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내보낸다. 필요하면 제어 정보를 고쳐쓴다.

 

2.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구성

  • PC나 서버, 네트워크 기기에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갖추어져 있다.
  • 인터페이스끼리 전송 매체(케이블 등)로 연결하고 링크를 구성해서 네트워크를 만든다.
  • 인터페이스는 '0'과 '1'의 디지털 데이터와 물리적인 신호의 경계다.

2-1) 인터페이스(포트)

  • 네트워크 기기끼리나 PC, 서버 등을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기기에는 인터페이스가 갖추어져 있다.
  •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이더넷 인터페이스이다.
  • 인터페이스는 종종 포트라고도 불린다.

2-2) 전송 매체와 링크

  • 각 기기에 달린 인터페이스끼리 연결(링크)한다.
  • 인터페이스를 서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전송 매체라고 한다. 
  • 데이터를 변환한 전기신호 등 물리적인 신호가 전송 매체를 통해 전달되어 간다.

 

3. LAN 구축

3-1) LAN의 주요기술

  • 이더넷
  • 무선 LAN(Wi-FI)

3-2) LAN의 구축

  •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갖춘 기기의 이더넷 인터페이스끼리 연결해서 LAN을 구축한다.
  • 무선 LAN 인터페이스를 갖춘 기기끼로 무선 LAN링크를 만든다.

 

4. 네트워크 설계

네트워크를 설계하는 주요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1. 요건정의 : 네트워크에 필요한 기능과 성능을 명확히 한다.
  2. 설계 : 요건정의에서 결정한 요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결정한다.
  3. 구축 : 설계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기기의 배치, 배선, 필요한 설정을 한다.
  4. 운용관리 : 네트워크가 정상으로 동작하도록 점검한다. 문제가 있으면 원인을 파악해 복구한다.

 

5. 네트워크 구성도

네트워크를 운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구성을 바르게 파악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네트워크 구성도에는 논리구성도물리구성도 두 가지 종류가 있다.

5-1) 논리구성도 -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나타냄

  • 기술적인 관점에서 하나의 네트워크는 라우터 또는 레이어3 스위치로 구분되고, 라우터와 레이어3 스위치는 복수의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 논리구성도의 핵심은 몇 개의 네트워크가 어느 라우터와 레이어3 스위치로 연결되는지 파악하기 쉽게 정리하는 것이다.

5-2) 물리구성도 - 기기의 배치와 배선을 나타냄

  • 물리구성도의 핵심은 어느 기기의 어느 인터페이스가 어떠한 케이블로 배선되는지 파악하기 쉽게 정리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3. TCP/IP(1)  (0) 2022.01.08
CH1. 네트워크의 기본  (0) 2022.01.08